전체 글 210

별빛가득히.허블망원경

허블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인류가 우주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우주 망원경입니다. 1990년에 NASA와 ESA(유럽우주국)가 공동으로 발사한 허블 망원경은 지구 궤도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동안 수많은 우주 사진과 데이터를 제공해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넓혀주었습니다. 허블 망원경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지구 대기권 밖에서 관측을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지상에서 관측하는 망원경들은 지구 대기권의 영향으로 인해 우주의 모습을 선명하게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대기는 별빛을 산란시키고, 구름이나 날씨의 변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관측이 방해받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허블 망원경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해 요소 없이..

천문학과 별 2024.09.21

초저온 전자 현미경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lectron Microscopy, Cryo-EM)은 생물학과 재료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도구로 자리잡은 첨단 기술입니다. 이 현미경은 특히 단백질, 바이러스, 세포 구조 같은 생체 분자의 3차원 구조를 고해상도로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초저온 상태에서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생물학적 샘플을 거의 원래 상태 그대로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Cryo-EM은 샘플을 관찰하기 전에 먼저 급속 동결합니다. 이 과정은 샘플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그 내부 구조를 잘 보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초저온 환경에서 물이 결정화하지 않고 비정질 상태(얼음이 되지 않고 고체처럼 굳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세포나 분자가 자..

천문학과 별 2024.09.20

미행성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태양계의 흥미로운 구성원인 '미행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어릴 적 천문학 책을 보면서 태양계 행성들의 그림을 본 기억 다들 있으시죠? 그런데 그 책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실은 행성들 사이를 돌고 있는 작은 천체들이 있답니다. 바로 그것들이 '미행성'이에요. 미행성이라고 하면 뭔가 작고 귀여운 느낌이 들지 않나요? 실제로 크기는 작지만, 우리 태양계의 역사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미행성이 그저 '작은 돌덩어리'라고만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정말 다양한 모습과 특징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미행성의 대부분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있어요. 이 지역을 '소행성 벨트'라고도 부르는데, 마치 우리 태양계의 허리띠 같..

천문학과 별 2024.09.18

파라날 천문대

파라날 천문대(Paranal Observatory)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세계적인 천문 관측소입니다. 이 천문대는 유럽 남방 천문대(ESO)에 의해 운영되며, 그곳의 주요 시설은 초거대 망원경(VLT, Very Large Telescope)입니다.위치파라날 천문대는 남미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로, 높은 고도와 맑은 하늘 덕분에 천문 관측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초거대 망원경(VLT)파라날 천문대의 주요 장비는 초거대 망원경(VLT)입니다. VLT는 네 대의 8.2미터 초거대 망원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결합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VLT는 다양한 천문학적 관측과 연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됩..

천문학과 별 2024.09.17

적색왜성

적색왜성은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 종류 중 하나로, 우리가 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는 없지만, 그 중요성은 정말 큽니다. 이 별들은 그 자체로도 신비롭고 매력적인 존재입니다. 적색왜성은 표면 온도가 낮아서 붉은 색을 띠는데, 이는 대략 2,500도에서 4,000도 사이입니다. 그래서 그 이름처럼 붉은빛을 발합니다. 하지만 그 크기와 질량은 태양보다 훨씬 작습니다. 일반적으로 적색왜성의 직경은 태양의 1/4에서 1/2 정도로, 태양보다 질량도 작죠. 이 작은 크기 덕분에 적색왜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를 가지고 있어서, 우리의 눈으로는 쉽게 보이지 않아요. 적색왜성의 생애는 매우 길어요. 이들은 천문학적으로 볼 때 매우 안정적이고, 수십억 년 이상 살아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긴 수명 덕분에 적색..

천문학과 별 2024.09.16

dna와 rna 의 차이

DNA와 RNA는 우리 몸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분자예요. 둘 다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일을 하지만, 그 역할과 구조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어요. 1. 구조DNA는 두 가닥으로 된 이중 나선 모양이에요. 마치 사다리를 꼬아놓은 것 같은 모습이죠. 이 덕분에 DNA는 매우 안정적이고, 오랜 시간 동안 유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요.RNA는 한 가닥으로만 되어 있어요. DNA보다 단순한 구조라서 더 빨리 만들어지고 더 쉽게 분해돼요.2. 역할DNA는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정보를 담고 있고, 이 정보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어떤 성격을 가질지를 결정해요.RNA는 그 정보를 전달하거나 필요한 대로 바꾸는 역할을 해요. DNA의 지시를 받아서 세포..

천문학과 별 2024.09.15

슈퍼노바

슈퍼노바는 우주에서 가장 강력하고 눈부신 현상 중 하나입니다. 한때 아름답고 평온하게 빛나던 별이 마지막 순간에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죠. 슈퍼노바가 일어날 때, 그 별은 순식간에 믿기 힘들 만큼 밝아지는데, 가끔은 해당 은하 전체보다 더 밝게 빛나기도 해요. 하지만 이 순간은 영원하지 않아요. 별은 그 빛을 발한 후 사라지고, 그 자리에 흔적만 남기고 사라지죠. 슈퍼노바가 일어나는 과정은 무척 복잡해요. 일반적으로 별은 내부에서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면서 수소를 헬륨으로, 그리고 무거운 원소로 바꾸면서 빛을 내요. 이 과정을 통해 별은 자신의 중력으로부터 붕괴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죠. 하지만 별의 수명은 무한하지 않아요. 어느 순간, 핵융합이 멈추면서 별의 내부 ..

천문학과 별 2024.09.14

서울 시립 천문대

시립서울천문대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81에 위치한 천문 관측 및 교육 시설입니다. 1981년에 개관했으며,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1. 600mm 반사 망원경을 비롯한 다양한 천체 관측 장비 보유 2. 천체 관측 프로그램 운영 3. 천문학 관련 전시물 및 교육 자료 제공 4. 일반인과 학생들을 위한 천문학 교육 프로그램 실시 시민들에게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우주에 대한 이해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네, 시립서울천문대의 운영 시간, 입장료,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운영 시간: • 화요일 ~ 금요일: 오후 2시 ~ 오후 10시 •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오후 2시 ~ 오후 11시 • 월요일: 휴관 입장료: • 성인: 2,00..

천문학과 별 2024.09.12

행성의 일직선

가끔 우리는 밤하늘을 보며 별들과 행성들이 마치 줄을 맞춘 듯이 나열되는 장면을 상상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행성들이 일직선으로 나열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라는 질문이 떠오른다. 영화나 소설에서는 이런 순간을 지구의 종말이나 대재앙으로 그리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어떨까? 나는 이 주제를 접할 때마다 항상 흥미로웠다. 정말로 행성들이 일직선으로 나열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먼저, 실제로 모든 행성들이 완벽하게 일직선으로 나열되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행성들은 각각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이 궤도들은 서로 조금씩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완벽한 정렬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특정 시기에 몇몇 행성들이 비교적 비슷한 위치에 놓이는 현상은 가끔 발생한다. 이를 우리는 '행성 정렬'..

천문학과 별 2024.09.11

빅뱅이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우주의 탄생 비밀을 파헤치는 '빅뱅 이론'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솔직히 말해서 이 이론을 처음 들었을 때 저도 머리가 좀 아팠어요. 하지만 차근차근 알아가다 보니 정말 흥미진진하더라고요! 자, 빅뱅 이론이 뭐냐고요? 간단히 말하면 우주의 탄생을 설명하는 이론이에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거대한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죠. 이 이론에 따르면, 약 138억 년 전에 우주가 아주 뜨겁고 조밀한 한 점에서 시작됐대요. 그러다가 갑자기 '팡!' 하고 폭발했죠. 그래서 '빅뱅(Big Bang)', 즉 '대폭발'이라고 부르는 거예요. 재미있죠? 마치 우주가 거대한 폭죽처럼 터진 것 같아요. 이 대폭발 이후에 우주는 계속 팽창하기 시작했어요. 마치 풍선을 불어 커지는..

천문학과 별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