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0

낙엽이 떨어지는~가을 별자리

가을은 밤하늘이 맑고 선선한 기운이 감도는 시기로, 별자리를 관찰하기에 좋은 계절입니다. 여름의 은하수가 지나고 점점 차가워지는 공기 속에서 맑고 밝은 별들이 빛나는 가을밤에는 특별한 별자리들이 하늘을 장식합니다. 가을 별자리는 주로 천정 가까이에 위치하고, 여름의 밝은 별들에 비해 다소 희미하지만 여전히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을 하늘 별자리   페가수스자리가을 하늘을 대표하는 별자리 중 하나는 페가수스자리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날개 달린 말로 등장하는 페가수스를 상징하는 이 별자리는 가을 초저녁 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페가수스자리의 특징 중 하나는 '가을의 대사각형'으로 불리는 네 개의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입니다. 이 사각형은 하늘에서 눈에 잘 띄며, 다른 별자리..

천문학과 별 2024.10.06

화이트홀

화이트홀(White Hole)은 블랙홀(Black Hole)과 대조적인 개념으로, 이론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물질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천체 개념이다. 블랙홀이 강력한 중력으로 모든 물질과 빛을 빨아들이는 것과 달리, 화이트홀은 그 반대로 물질을 방출하는 곳으로 설명된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한 수학적 해석에서 나온 이론적인 개념이다. 화이트홀은 이론적으로 블랙홀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고 추정되며, 블랙홀이 물질을 빨아들이면 그 물질이 화이트홀을 통해 다른 우주나 공간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런 개념에서 화이트홀은 일종의 "시공간의 출구"로 묘사된다. 블랙홀이 모든 것을 잡아들이는 "입구"라면, 화이트홀은 모든 것을 내보내는 "출구"가 될..

천문학과 별 2024.10.05

대전시민천문대

2024.09.14 - [천문학과 별] - 슈퍼노바 슈퍼노바슈퍼노바는 우주에서 가장 강력하고 눈부신 현상 중 하나입니다. 한때 아름답고 평온하게 빛나던 별이 마지막 순간에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죠. 슈퍼노바가 일어날 때, 그 별dami4love.com  대전 시민 천문대는 도심 속에서 별과 우주를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별을 관측하고, 다양한 천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 있어요. 대전 시민뿐만 아니라 여행객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곳입니다. 천문대의 주요 정보와 프로그램들을 살펴볼게요.개장 및 퇴장 시간대전 시민 천문대는 주로 야간에 관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장 시간이 오후로 설정되어 있어요. 평일과 주말 모두 오후 2..

천문학과 별 2024.09.28

전기 저항이 0이 되면 초전도체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완전히 0이 되는 물질을 말한다. 보통 전기 전도체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에 의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지만,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저항 없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현상은 1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카멜링 오너스가 수은을 극저온(약 -269도)으로 냉각했을 때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이 관찰되었다. 초전도체의 주요 특성 중 하나는 마이스너 효과이다. 이는 초전도체가 외부 자기장을 완전히 밀어내는 현상으로, 자기장이 물질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막는다. 이 때문에 초전도체는 자석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자기 부상 현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자기 부상 열차 같은 기술이 가능해진다. 초전도체는 크게 저온 ..

천문학과 별 2024.09.26

우주 코스모스

2024.09.14 - [천문학과 별] - 미행성 미행성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태양계의 흥미로운 구성원인 '미행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어릴 적 천문학 책을 보면서 태양계 행성들의 그림을 본 기억 다들 dami4love.com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코스모스"는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과학 대중화의 선구자인 칼 세이건(Carl Sagan)이 1980년에 집필한 책이자, 같은 해에 방영된 13부작 TV 다큐멘터리 시리즈입니다.  1. 책으로서의 "코스모스":    - 우주의 역사, 과학의 발전, 그리고 인류의 미래에 대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룹니다.    - 복잡한 과학적 개념을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 과학과 철학, 역사를 융합하여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합..

천문학과 별 2024.09.25

영화 '아바타' 속 과학 이야기

영화 아바타는 고도의 과학적 개념들을 이야기 속에 녹여낸 작품이다. 판도라라는 외계 행성을 배경으로, 현실에서 가능할지 모를 과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한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몇 가지 과학적 요소들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아바타 프로그램은 인간의 의식을 다른 생체 유기체에 전송하는 기술로, 영화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주인공 제이크 설리는 자신의 의식을 나비족과 인간 DNA가 결합된 아바타로 전송하여 판도라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 개념은 신경과학과 의식 전송, 원격 조종에 대한 상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재의 과학적 기술로는 불가능하지만, 신경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기계를 조종하는 연구는 점차 발전하고 있다.     판도라 행성의 자연 생태계는 모두가 연결된 거대한 신경망과..

천문학과 별 2024.09.25

찬드라세카르 한계

2024.09.24 - [천문학과 별] - 태양의 수명 태양의 수명2024.09.14 - [천문학과 별] - 슈퍼노바 슈퍼노바슈퍼노바는 우주에서 가장 강력하고 눈부신 현상 중 하나입니다. 한때 아름답고 평온하게 빛나던 별이 마지막 순간에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dami4love.com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Chandrasekhar Subrahmanyan)은 20세기의 저명한 천체물리학자로, 그의 이름을 딴 찬드라세카르 한계로 잘 알려져 있다. 1910년 인도에서 태어난 찬드라세카르는 천문학과 이론 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다. 특히, 별의 진화와 백색 왜성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분야는 별의 죽음에 관한 연구였다. 찬드라세카르는 별이 진화 과정에서 수축해 백..

천문학과 별 2024.09.25

태양의 수명

2024.09.14 - [천문학과 별] - 슈퍼노바 슈퍼노바슈퍼노바는 우주에서 가장 강력하고 눈부신 현상 중 하나입니다. 한때 아름답고 평온하게 빛나던 별이 마지막 순간에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죠. 슈퍼노바가 일어날 때, 그 별dami4love.com  태양은 우리 태양계의 중심에 위치한 항성으로, 지구와 모든 행성들의 에너지 원천입니다. 태양의 수명은 약 100억 년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약 46억 년이 지난 상태로, 수명의 절반 정도를 지나고 있습니다. 태양이 언제까지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지, 그 이후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태양은 현재 주계열성 단계에 있습니다. 주계열성이란 항성이 핵융합을 통해 내부에서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단계..

천문학과 별 2024.09.24

영화 '컨텍트' 속 과학 이야기

영화 컨택트는 외계 생명체와의 첫 접촉을 다루면서도 그 속에 많은 과학적 개념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파망원경과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 대한 이야기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영화는 과학의 실험적 과정과 그 한계를 이야기하면서도, 과학이 어떻게 우주를 탐구하고 우리의 질문에 답을 찾으려 하는지를 그립니다. 첫 번째로 눈에 띄는 과학적 요소는 바로 전파망원경입니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 엘리 애로웨이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외계 신호를 탐지합니다. 실제로 과학자들이 우주에서 오는 신호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식입니다. 이 전파망원경은 전자기파, 특히 라디오 주파수를 포착하는데, 우리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우주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영화에서..

천문학과 별 2024.09.23

밤하늘의 윙크,영화 삼체

2024.09.14 - [천문학과 별] - 미행성 미행성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 태양계의 흥미로운 구성원인 '미행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어릴 적 천문학 책을 보면서 태양계 행성들의 그림을 본 기억 다들 dami4love.com    영화 삼체에서 밤하늘이 '윙크'하는 장면은 이야기 속에서 중요한 상징적인 장치로 등장합니다. 이 현상은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지는 않지만, 극의 분위기와 이야기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신비롭고 긴장감 넘치는 느낌을 전달하는 데 기여하죠. 소설 삼체에서는 인간이 외계 문명을 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현상들이 묘사되는데, 밤하늘이 윙크하는 장면은 그중 하나입니다. 이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거대한 외계 존재나 문명의 신호로 해석되며, ..

천문학과 별 2024.09.22